2016년 7월 20일 수요일

은하수 사진과 천문도 그림

2016년 3월 5일 한국시각 17시 26분에 볼리비아 우유니 사막 근처에서 제가 직접 찍은 은하수 사진과 해당 시점의 하늘을 진짜만세력 천문도로 그린 그림입니다.

사진은 크롭센서(1:1.5), F2.8, 초점거리 24mm(35mm환산), 20초 노출,  ISO 1600, 무보정 사진 입니다.

풀프레임센서 카메라는 별로 관심 없지만, 24mm의 한계를 절실하게 느끼며 광각렌즈(10~18mm)는 꼭 사야지 하는 생각이 들게 하는 사진입니다.































아래 그림들은 위 두장의 그림과 동일하지만 조금 더 큰 사진과 그림입니다.







2016년 7월 12일 화요일

전체 하늘 사진 2장

아래 사진 2장은 해상도가 아주 큰 사진입니다.
사진을 오른쪽 마우스로 클릭한뒤 다른이름으로 저장을 선택해서 PC에 저장한 다음에 PC의 사진뷰어등으로 자유롭게 확대 축소해서 보세요.

아래 사진과 그림은 전체 하늘을 보여주는 그림입니다.


아래 사진은 NASA에서 합성한 사진입니다.
사진 출처는 
입니다.




아래 그림은 제가 그린 그림입니다.
28수와 동양 별자리 이름을 표시한 사진입니다.

https://www.flickr.com/photos/126089740@N02/sets/72157645800608501/
이 링크에 가면 제가 그린 다양한 천문도 그림이 있습니다.


2016년 7월 6일 수요일

진짜만세력천문도의 천문도 사용법 2

진짜만세력천문도의 천문도 사용법 두번째입니다.

이 글에서는 행성배치도의 사용법을 알아봅니다.


 천문도 화면에서 상단 중앙의 파란색 천문도를 터치하면 행성배치도 화면이 나옵니다.






















행성배치도는 해당시점의 행성위치를 보여주는 그림입니다. 
위쪽의 원은 태양을 중심으로 해왕성까지 실제 궤도비율로 표시하여 보여줍니다.

해왕성까지 표시하면 목성안쪽의 행성들의 궤도반경이 너무작아서 잘 보이지 않게 됩니다.
그래서 아래쪽에 태양에서 화성까지의 궤도를 확대하여 표시합니다.





































흰색 동심원들은 해당 행성들의 평균 궤도 반경이고, 행성들의 실제 위치는 이 흰색원주변에서 타원궤도로 공전합니다.





































화면을 확대하면 위와 같은 그림이 됩니다.
2016년 7월 6일에 지구는 황경 105도의 소서근처에 있습니다.
지구에는 노란색 표시줄이 있는데, 달이 위치하는 방향입니다. 태양계 궤도를 전체비율로 표시하면 달은 지구와  구분할 수 없어서 방향을 표시했습니다.
달이 지구에서 태양방향에서 약간 반시계방향으로 돌아가 있습니다. 음력 3일이라는 의미입니다.(화면에 음력 날짜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행성배치도에서 모든 행성과 달은 반시계방향으로 공전합니다.




2016년 6월 16일 목요일

진짜만세력천문도의 천문도 사용법 1

진짜만세력천문도의 천문도 사용법입니다.

먼저

천문도 ( 별자리판 ) 사용법(http://afnmp3.homeip.net/~kohyc/calendar/starmapusage.htm)

를 참고해 주세요.


천문도 화면을 보려면 화면 왼쪽 상단의 파란색 천문도 글자를 터치하세요











































그러면 다음과 같은 천문도 화면이 나옵니다.
천문도에는 시간과 위치가 위쪽에 표시됩니다. 천문도 그림은 표시된 시각에 표시된 위치에서 본 하늘이 표시됩니다.
지정된 시각에 해당하는 해, 달, 행성의 위치가 계산 되고, 표시됩니다.
(별들의 위치는 거의 고정적이지만, 별의 고유운동에 따른 장기간의 위치변화도 구현되어 있습니다.)

화면에 초록색원(혹은 타원)이 있는데, 이 원은 해당 시각과 해당 위치(경도/위도)에 따라서 계산된 지평선(혹은 수평선)을 초록색으로 표시하는데, 이 타원의 중심이 해당위치의 천정입니다.
 
회색띠는 은하수를 표시합니다.


















이 화면에서 두손가락터치로 화면을 이동/확대/축소가 가능합니다.


화면 중앙에 십자표시가 있고,
화면 아래쪽에는 현재 십자표시의 적경과 적위가 항상 표시됩니다.































화면을 이동시켜 중앙십자표시에 특정천체를 위치시키면 해당 천체의 정보를 볼수 있습니다.


화면을 확대/이동시켜 목성을 십자표시에 위치시켜면 해당 시점의 목성에 대해 정보를 볼수 있습니다.



대각성(목동자리 알파별)을 십자표시에 위치시켜 해당 별의 정보를 보는 화면입니다.



































화면의 파란색 글씨 'DATA Change'를 터치하면 다음과 같은 입력화면이 나옵니다.

이 화면에서 년/월/일/시/분을 입력하면 해당 시점의 천문도가 그려집니다.

기간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합니다.

화면 중심은 북극/현재위치/남극 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북극이나 남극 선택하면 천문도 중심이 북극천정 혹은 남극천정이고 상단에 표시된 시간과 위치(경도/위도)를 기준으로 천정과 지평선이 초록색 원으로 그려집니다.

별자리선은 동양/서양/동서양/없음을 선택할수 있습니다.
선택한 내용에 따라서 화면이 그려집니다.

파란색글시의 현재를 터치하면 현재시간/현재위치에 해당하는 화면이 그려집니다. 날짜나 위치를 임의로 지정한 경우에는 바로현재시점으로 돌아 올수 있습니다.

닫기를 선택하면 입력창이 없어집니다.









별자리 선을 동양으로 선택하고,  각성을(스피카,처녀자리 알파별)을 십자표시에 위치시킨 화면입니다.







































화면 중심을 현재위치로 선택한 화면입니다.


현재위치/동양 화면입니다.




화면중심이 북극이나 남극일때는 현재관측위치에서 방위 구분이 약간 어렵지만 현재 위치로 선택하면 동서남북의 방위확인이 아주 쉽습니다.
(저는 이 화면을 주로 사용합니다)


북극중심의 그림은 좌표계의 특성때문에 북극주변의 하늘은 실제와 동일하지면 북극(그림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왜곡현상이 발생합니다.(카메라 광각렌즈의 렌즈 중심영역과 렌즈 바깥영역을 생각하면 됩니다.)
그래서 적도부근이나 적도남쪽의 별자리 연결선은 실제와 많이 다르게 표시됩니다.
현재위치 그림 역시 천정(그림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왜곡이 심해지지만, 지평선 아래쪽 별은 볼일은 없고, 시간이나 위치를 입력해서 중심을 바꿀수 있습니다.
따라서 원하는 천체를 화면 중심에 위치시켜려면 시간/경도/위도를 잘 조절해서 입력하면 됩니다.

시간대(Timezone)는 해당 기기에서 자동으로 읽어옵니다. 시간대를 조절하는 옵션은 없습니다.



다음편을 기대해 주세요.









2016년 6월 11일 토요일

진짜만세력의 태음태양력 구조

진짜만세력은 아래 3가지 기준으로 태음태양력을 계산합니다.

1. 합삭(태양-달-지구가 일직선이 되는 시점)이 있는 날이 음력 초하루

2. 우수(24절기 雨水,태양이 황경 330도에 위치하는 시점)가 들어있는 달이 1월(=정월, 正月)

3. 중기가 없는 무중월이 있으면 이는 윤달. 하지만 이 무중월이 진짜무중월인지 가짜무중월인지의 판단을 해서 진짜 무중월일때만 윤달입니다.(아래 설명 참조)



설명

1.은 순태음력

2.는 순태음력에 태양력(태양의 위치)을 추가한것.

3.은 1과2의 조건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한 방법. 아래에 설명하는 복잡한 방법으로 윤달을 삽입하여 태음태양력이 완성됨.

24절기중에 12개의 중기를 포함하지 않는 무중월이 있으면, 진짜 혹은 가짜무중월의 판단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 판단이 아주 복잡합니다.
무중월의 전달이나 다음달에 2개의 중기가 있으면 이는 가짜 무중월입니다.
진짜 무중월은 여름과 가을에 나타나며 전달과 다음달은 1개의 중기만을 가집니다.

복잡한(=재수없는) 경우에 1년 달력을 만들면 특정 년도(a년이라 가정, 이 해에는 음력 윤달이 있음)의 음력 12월 말일이 우수가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는 정기/정삭법을 사용해서 생기는 경우로 이것은 a년의 1년 달력을 만들때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문제는 다음해인 b(=a+1)년의 1년 달력을 만들때 b년의 우수가 어디있는지 파악해야 하는데, 우수가 음력 말일(=그믐날)이라면 음력 12월말일 인지 1월말일인지 판단이 필요하게 됩니다.
우수가 음력 말일이면서 그 달의 초하루가 대한이 아니라면 그달은 b년 1월.
우수가 음력 말일이면서 그 달의 초하루가 대한이면 그달은 전년도 a년 12월.

여기서 더 복잡한(=더 재수없는) 경우가 생기는데, 한달 달력을 만들때 우수 다음달이 무중월이면 이게 1월인지(=우수가 전년도 말일인지), 윤1월인지 파악해야하는 경우가 생김니다.
예를 들어 특정 년도의 양력 3월의 달력을 표시할때 양력 3월 1일이 음력으로 1월일 때, 이 음력월이 평달, 무중월인데도 평달, 혹은 진짜무중월 윤달인지를 파악해야 합니다.

그리고 우수와 춘분이 음력 한달에 들어있으면,
예를 들어 1월(초하루=우수, 그믐=춘분),무중월,3월(초하루=곡우) 이런식이라면 이 무중월이 2월인지, 윤2월인지의 판단도 필요합니다.

또한 1월(초하루=우수, 그믐=춘분),2월(그믐=곡우),무중월,4월(초하루=소만)의 가능성도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춘분과 곡우도 음력 한달에 들어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지금까지 대한과 우수가 한달, 우수와 춘분이 한달, 춘분과 곡우가 한달에 들어있을 가능성을 설명했지만, 전년도의 동지와 대한이 음력 한달에 들어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지구가 태양을 공전할때 소한 무렵의 근일점에서 아주 빠르게 공전하지만 지구가 빨리 움직이는 것은 달과는 아무 상관 없기때문입니다.

따라서 b년의 달력을 만들때는 전년도 a년의 동지 무렵부터 b년의 소만 무렵까지의 무중월이 발생하면 이 무중월이 진짜무중월인지, 가짜무중월인지를 파악해서 월의 명칭을 붙여야 합니다.

에이, 머리 아프고 귀찮다. 재귀호출 사용.(자세한것은 공개된 소스코드 참조)


결론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태음태양력은 무중치윤법을 기반으로 사용하는데, 무중월에는 진짜 와 가짜가 있습니다.
진짜무중월은 파악이 간단하지만, 가짜 무중월은 파악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진짜만세력은 위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가짜 무중월을 파악하고, 윤달을 처리하여 날짜를 계산합니다.